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btiai
- MBTI궁합
- #mbti
- 로제
- #향기나는사랑
- #아로마인사이트카드
- 심리테스트
- 빌보드
- likejennie
- ENFP
- 트로이시반
- 무의식심리
- 향기나는사랑
- #감미로운팝송
- #nevernot
- pop
- 아로마테라피
- MBTI이상형
- 느낌있는팝송
- #느낌있는팝송
- #lauvnevernot가사
- INFJ
- 연애심리
- 제니노래
- #잔잔한팝송
- 인기팝송
- 아로마인사이트카드
- #연애테스트
- 인가팝송
- 제니
- Today
- Total
향기나는사랑
사춘기의 증상과 대처법 본문
사춘기의 증상과 대처법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우리 아이 어제 봤던 모습과 오늘의 모습이 다르다면 부모 입장에서는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부모님들도 어린 시절 누구나 한 번씩 겪었던 상황이기는 하지만 문제는 내가 겪었던 것과 또 다른 양상으로 펼쳐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녀가 느끼는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최대한 완화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적으로 예민한 시기,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여러분의 자녀가 우려된다면 또 이러한 변화가 부모와 자녀와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 오늘은 사춘기테스트를 한 번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은 사춘기의 정의와 신체적, 감정적 변화와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춘기란?
청소년기가 청년과 소년을 아우르는 특정 연령대를 지칭한다면 사춘기는 ‘성적인 성숙이 이루어지는 시기’를 말합니다. 사춘기(思春期)는 말 그대로 ‘생각이 봄처럼 시작한다’ 혹은 ‘봄을 생각하는 시기’입니다. 사계절의 시작이 봄이듯, 한 사람의 인생에서 사춘기는 성인이 되어가는 첫 단계를 뜻합니다. 모든 만물이 봄에 생기를 발하고 새로운 힘을 나타내듯이 개인의 몸과 마음이 살아 움직이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어머니의 몸에서 시작한 육체적 생(生)에서 정신적 생(生)에 이르기까지, 한 사람의 개별적 삶이 시작됨을 알리는 시기인 것입니다. 이러한 사춘기의 변화는 육체적인 발육과 성장에서 비롯됩니다. 성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여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생식 기능이 완성되기 시작하는 시기로 이성(異性)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춘정(春情)을 느끼게 됩니다. Puberty(사춘기)는 라틴어 ‘Pubertas(꽃피우다, ’어른의 시대‘라는 의미)’에서 유래했고 인간발달 단계상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신체적, 생물학적 변화 및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로서 ‘청소년기(Adolescence)’의 초기에 해당합니다.
2. 사춘기 증상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신체적 증상 : 뚜렷한 신체 변화가 나타난다.
① 남자아이
- 고환과 음경의 크기 변화
- 음모의 발생
- 어깨 골격의 변화
- 머리 냄새가 심해진다.
- 여드름이 난다.
- 변성기가 시작된다 .
- 몽정을 한다.
②여자아이
- 가슴에 몽우리가 잡힌다.
- 음모의 발생 엉덩이가 커진다.
- 질 분비물이 팬티에 묻어난다.
- 머리 냄새가 심해진다.
- 여드름이 난다 초경을 시작한다.
2) 감정적 변화
① 감정, 심리 변화
- 이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
- 감정의 변화가 심하다.
- 부모나 가족보다 친구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 형제,자매,친구 등과의 갈등이 늘어난다.
- 거짓말을 많이 한다.
- 옷차림이나 헤어스타일 등 겉 모습에 관심을 기울인다.
- 거울을 보는 일이 잦아진다.
- 짜증이 늘어난다.
- 부모와 대화를 꺼리고 부모를 대화가 통하지 않는 상대로 여긴다.
3. 사춘기 자녀 대처법
1) 다양한 경험 늘려주기 : 뇌가 아직 발달하고 있는 아이들에게 공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2) 아이가 꿈을 가질수 있게 도와주기 : 아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아이의 적성이 무엇인지 대화를 통하여 미래를 꿈꿀수 있게 도와주세요
3) 부모의 생각만을 말하지 않기 : 아이들이 정체성 혼란을 겪는 시기이니 아이의 입장을 생각해주는것이 필요합니다.
4) 따뜻한 관계 유지 : 부모와의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여 아이의 마음에 안정감을 주어 건강한 뇌발달로 이어지게 도와주세요
5) 아이와 대화 줄이기 : 좋은말도 아이에게는 잔소리로 들릴수 있으니 말을 많이 하고 싶어도 아끼는것이 좋습니다.
6) 공감해주기 :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부모의 사춘기경험도 알려주며 공감하는 시간 가지기.
결론
아이에게 나타나는 변화는 부모에게도 스트레스를 주지만 직접 그 과정을 겪고 있는 아이 입장에서는 더욱 심각한 스트레스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시기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다독여주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무조건 혼내기보다는 자연스러운 대화로 잘못된 것을 깨닫게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자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교육과 대화 빈도 늘리기를 통해 갑작스러운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노력해봅시다.
'궁금한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별 궁합보기 - 향기나는사랑 (2) | 2024.09.02 |
---|---|
임오일주 성격 (6) | 2023.08.21 |
이병철 회장의 10대 명언 (5) | 2023.08.20 |
심리학이 밝혀낸 진짜 멘탈 쎈 사람들의 6가지 특징 / 향기나는사랑 (18) | 2023.06.19 |
플라톤의 인생명언 (8) | 2023.06.16 |